설날 제사 지내는 방법 자세히 알아보세요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설날 제사 지내는 방법 자세히 알아보세요

반응형

설날은 추석과 단오와 함께 우리국가의 3대 명절입니다. 설날은 음력 1월 1일을 ‘정월 초하루’ 또는 ‘설’ 등으로 불리기도합니다. 대체로 설날을 명절로 쇠기 시작한 시기를 신라 이전부터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렇게 오랜 연원을 가진 큰 명절인 설날도 우리나라가 개항기를 맞아 태양력을 수용하여 양력 1월 1일을 ‘신정’으로 정하면서 양력설과 음력설을 이중으로 지키는 혼란을 맞게 되기도 하였습니다.

이제 며칠뒤면 민족의 대명절 설날인데요. 올해는 코로나로 가족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설날 음식 및 담소를 나누기는 힘들겠지만, 그래도 설날 제사 지내는 방법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날 제사 지내는 방법


1. 영신과 분향강신
대문을 열어놓고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하고, 지방을 써 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칩니다. 예전에는 출주라 하여 사당에서 신주를 모셔 내오는 의식이 있었습니다. 분향강신은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으로,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아 향로에 향을 피우고 집사가 제상에게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냅니다.


잔에 술을 조금 따른 후 두손으로 잔을 들어 세번 돌린다음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번 붓습니다. 그리고 빈잔을 다시 집사에게 주고 일어나서 두번 절하며, 집사는 빈잔을 제자리에 놓습니다. 향을 피우는 것은 하늘에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며, 모사에 술을 따르는 것은 땅아래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입니다.


2. 참신
참신은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참사자들 모두 신위를 향해서 두번 절하는 것입니다. 신주를 모시고 올리는 제사일 때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을 모셨을 때는 강신을 먼저 합니다. 미리 제찬을 전설하지 않고 참신 뒤에 진찬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기도 합니다. 진찬 때는 주인이 고기, 생선, 국을 올리고 주부가 면과 떡을 올립니다. 


3. 초헌
초헌이란 제사 때 처음으로 신위께 술을 올리는 것인데,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앉으면 집사가 제상의 고위 앞에 놓인 잔반을 집어서 제주에게 주고, 집사가 잔에 술을 가득 붓습니다. 제주는 잔대를 공손히 들어 집사에게 주면 집사는 고위 앞에 먼저 올리고, 비위에게도 이러한 절차로 잔에 술을 부어 올립니다. 집안에 따라 술을 올린 뒤 메 그릇의 뚜껑을 엽니다.


4. 독축
축문을 읽는 것을 독축이라 하는데, 초헌이 끝나고 참사자가 모두 꿇어 앉으면 축관은 제주 좌측에 앉아 천천히 정중하게 읽습니다.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무관하며 독축이 끝나면 참사자 모두 일어나서 재배하는데 초헌의 끝입니다. 과거에는 독축 뒤에 곡을 하기도 했습니다.


5. 아헌
아헌은 두번째로 술잔 올리는 것을 말하는데, 제주 다음 가는 근친자가 집사의 도움을 받아서 초헌 때처럼 술잔을 올리고 두번 절하는 것입니다. 이 때는 축문을 읽지 않고 일부지방에서는 주부가 술잔을 올리는 경우도 있으며, 주부는 절을 4번 해야 합니다. 초헌 떄와 같이 종헌 전에 잔반의 술을 퇴주합니다.


6. 종헌
종헌이란 마지막으로 술잔을 올리는 것인데, 아헌자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초헌 때처럼 술을 올리고 재배하는데 이때는 술잔에 술은 가득 채우지 않고 첨작을 할 수 있게 술잔에 약간의 여유를 남겨 놓습니다. 종헌에서는 술잔을 비우지 않고 그대로 놓아둡니다.

7. 유식
조상에게 많으 잡수시기를 권하는 절차로, 제주가 신위 앞에 꿇어 앉으면 집사가 다른 술잔에 술을 따라 제주에게 주고, 제주는 받아서 다시 집사에게 주면 집사는 종헌 떄 술을 채우지 않은 잔에서 세번 나누어 따르고 두번 절하는 첨작이 있고, 동쪽으로 숟가락 앞이 향하게 꽂고 젓가락을 가지런히 두어 자루가 서쪽으로 가도록 시저그릇 위에 걸치는 삼시정저가 있습니다.


8. 합문
조상이 마음놓고 음식을 잡수시도록 자리를 비우는 절차로, 참사자 모두가 방에서 나와 문을 닫는 것입니다. 제관은 모두 밖으로 나가고 축관은 나중에 나가면서 문을 닫습니다. 대청일 경우에 뜰 아래로 내려오고 만일 문이 없으면 발이나 병풍을 치든지 혹은 돌아서서 시립하여도 무방합니다.


9. 계문과 헌다
계문은 문을 여는 의식이며, 축관이 문앞에 가서 흐음 소리를 세번하고 문을 연 후 다같이 들어갑니다. 헌다는 집사가 국그릇을 내리고 냉수나 숭늉을 올리며 메 그릇에 꽂은 수저를 거두어 숭늉그릇에 놓고 젓가락을 바르게 하며 모든 제관은 공수거지로 시립하는 것입니다.


10. 철시복반, 사신, 철상, 음복
철시복반은 조상이 음식을 다 드셨다고 생각되면 수저를 거두어 시접에 담고 메그릇 뚜껑을 덮는 것이며, 사신은 신위를 전송하는 절차로서 참사자 모두 절하는 것입니다. 철상은 제수를 거두어 치우는 것이며, 음복은 조상께서 주시는 복된 음식이란 뜻으로 제사를 마친 모든 참사자와 가족들이 모여앉아 음식과 술을 나누어 먹으며 고인을 추모하는 여러가지 이야기를 하는 것입니다.

반응형